최하위 성남이 ‘골리앗’ 울산을 꺾으면서 반등을 시작했다. 4일 오후 7시 성남 탄천종합운동장에서 펼쳐진 ‘하나원큐 K리그1 2022’ 성남 FC와 울산 현대의 경기에서 리그 최하위 성남은 리그 선두 울산을 상대로 밀리지 않는 경기력을 선보이면서 2:0으로 승리를 거뒀다. 3연패를 탈출하며 다시 생존 호흡을 시작한 성남은 홈에서 2연승에 도전했다. 11위 김천과의 승점 격차는 6점으로 파이널 분리 후 남은 경기까지 생각해보면 아직 포기할 단계는 아니었다. 우승이 목표인 울산은 성남을 제물로 10경기 연속 무패에 도전했다. ‘준산’ 이라 불리는 수모를 겪으며 우승 4수에 도전하는 울산으로서도 인정사정 봐줄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 올 시즌 2차례 맞대결은 울산이 1승 1무로 우세했다. 성남은 김영광 골키퍼가 골문을 지켰고, 권완규와 곽광선 두 베테랑이 조성욱과 함께 쓰리백을 담당했다. 미드필더 라인은 장효준과 양시후 2명의 22세 이하 자원과 안진범, 이시영으로 출발했다. 전방은 이재원과 김민혁, 22세 이하 강재우를 배치했다. 울산은 조현우 골키퍼가 변함없이 선발 출전한 가운데 김영광과 김기
리그를 대표하는 라이벌전 슈퍼매치에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FC서울에 완승을 거뒀다. 4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하나원큐 K리그1 2022’ 29라운드 FC서울과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경기에서 원정팀 수원이 오현규의 2골 등을 묶어 서울에 3:1로 이겼다. 서울은 양한빈이 골문을 지키고 윤종규, 박동진, 이상민, 이태석으로 수비진을 구성했다. 수비진의 줄부상으로 인한 박동진의 수비가담이 눈에 띄었다. 기성용, 강성진, 케이지로, 팔로세비치, 나상호, 일류첸코가 나섰다. 수원은 양형모, 이기제, 불투이스, 고명석, 김태환, 정승원, 이종성, 류승우, 전진우, 오현규, 강현묵으로 경기를 시작했다. 뜨거운 양팀 서포터들의 응원이 경기장에 울려퍼지는 가운데, 양팀은 초반부터 치열한 공방을 주고받았다. 전반 14분 팔로세비치의 쓰루패스를 받은 나상호가 왼쪽을 돌파해 강력한 슈팅을 날렸지만 양형모의 손끝에 걸렸다. 2분뒤엔 서울의 수비실책을 틈타 공을 빼낸 강현묵이 오현규에게 찬스를 만들어줬지만, 오현규의 마무리가 빈 골대를 빗나가며 기회를 놓쳤다. 1분뒤엔 즉각 반격에 나선 서울 강성진의 왼발 슈팅이 낮게 깔려갔지만 이번에도 양형모의 선방
포항이 궃은 날씨 속에서도 화력을 폭발시키며 선두권 추격에 박차를 가했다. 3일 오후 4시 30분 포항 스틸야드에서 펼쳐진 ‘하나원큐 K리그1 2022’ 29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 대구 FC의 경기에서 포항은 신진호, 정재희, 임상협의 연속골로 대구를 4:1로 대파하며 태풍 영향을 뚫고 스틸야드를 찾아준 홈 팬들에게 승리를 선사했다. 포항은 지난 전북 전에서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3경기 연속 승리를 맛보지 못했다. 2강의 견고함을 흔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쳤고, 인천과 제주에게 다시 추격의 기회를 허용했다. FA컵 포함 대구와의 올 시즌 3번의 맞대결 성적은 2무 1패로 열세였다. 대구는 지난 김천전 무승부로 4연패에서 탈출했지만, 11경기 연속 무승의 침체에서는 벗어나지 못했다. 3경기 연속 무득점에 10위에 머무르고 있는 순위에 강등의 그림자가 어른거렸다. 포항은 지난 전북전과 동일한 라인업을 들고나왔다. 골키퍼는 강현무, 포백은 완델손-그랜트-박찬용-신광훈이 출전했다. 3선은 신진호와 이승모가 맡았고, 이광혁-고영준-정재희가 최전방을 뒷받침했다. 허용준은 8경기 연속 선발 원톱으로 낙점됐다. 대구도 라인업에 큰 변화를 주지 않
수원FC가 막판 집중력을 발휘하며 패배 직전에 살아났다 2일 오후 7시 수원종합운동장에서 펼쳐진 ‘하나원큐 K리그1 2022’ 29라운드 수원 FC와 제주 유나이티드의 경기에서 수원 FC는 후반 추가시간에 터진 김건웅의 동점골로 제주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수원 FC는 강원과 서울을 다득점에서 앞서며 힘겹게 6위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리그 5위 제주와의 승점 차는 5점으로 패할 시 파이널 A 탑승도 장담할 수 없었다. 내년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 출전권을 노리는 제주는 인천에게 빼앗긴 4위 자리 탈환이 중요했다. 다음 라운드 인천과의 맞대결에서의 부담을 줄이려면 수원 FC전 승리가 필요했다. 올 시즌 상대 전적은 1승 1무로 우위에 있었다. 박배종이 골문을 지킨 수원 FC는 곽윤호-김건웅-신세계가 쓰리백을 구성했다. 미드필더 좌우는 박민규와 이용, 중앙은 박주호와 정재용이 나섰고, 최전방 김현의 좌우로는 22세 이하 이영준과 이기혁이 포진했다. 제주는 김근배 골키퍼가 지난 서울원정에 이어 시즌 2번째로 선발 장갑을 꼈다. 정운과 김경재가 센터백으로 호흡을 맞췄고, 풀백의 왼쪽은 김명순, 오른쪽은 안현범이 출전했다. 중원은 윤
체력은 바닥났지만 저력은 있었다. 29일 오후 7시 전주 월드컵경기장에서는 ‘하나원큐 K리그1 2022’ 23라운드 순연경기 전북 현대와 포항 스틸러스의 경기가 펼쳐졌다. 전북은 후반 초반 2점을 실점했지만, 남은 시간 2점을 만회하면서 포항과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전북은 지난 2주간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 본선 일정을 소화했었다. 16강과 8강에서 연장 후반까지 120분을 뛰며 체력을 소진해 정상 컨디션이라곤 볼 수 없었다. 3위 포항은 전북의 2위 자리를 노렸다. 최근 리그에서는 울산 대비 상대적으로 고전하고 있는 전북의 체력적 빈틈을 노려 승점 3점을 얻어내는 것이 목표였다. 승리 시 승점 차를 2점으로 좁힐 수 있었다. 전북은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 토너먼트 경기에서 체력을 아낀 송범근 골키퍼가 선발 출전했다. 경고 누적으로 출전하지 못한 센터백 박진섭의 자리는 구자룡이 대체했고, 왼쪽 풀백 김진수의 자리는 22세 이하 박진성으로 출발했다. 백승호와 김진규, 맹성웅의 젊은 선수들로 허리를 꾸렸고, 최전방은 송민규가 제로톱의 역할을 담당했다. 포항은 완델손을 2경기 연속 왼쪽 풀백으로 가동했다. 포백의 나머지 자리는
제주가 울산전 연패를 끊어내면서 5위 자리를 지켰다. 27일 오후 7시 제주 월드컵경기장에서는 ‘하나원큐 K리그1 2022’ 제주 유나이티드와 울산 현대의 23R 순연경기가 펼쳐졌다. 제주는 전반 울산 바코에게 선제골을 허용했지만, 후반 제르소가 동점골을 터뜨리면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제주는 지난 수원과의 홈경기에서 패하면서 3연승이 무산됐었다. 인천에게 4위 자리를 내주면서 순위도 5위로 한 계단 내려앉았다. 윤빛가람의 합류와 지난 경기에서 골맛을 본 진성욱, 28라운드 포항전에서 도움 헤트트릭을 기록한 김주공의 존재는 제주의 선수 운용에 도움을 주었다. 위에서 눌리고, 밑에서 치고 올라오는 상황에서 ACL 출전 가능권인 4위 탈환을 위해서는 승리가 필요했다. 올 시즌 상대 전적 2전 2승으로 제주를 압도하고 있는 울산은 2연승과 8경기 연속 무패를 기록하면서 1위를 질주하고 있었다. 마틴 아담의 합류가 높이와 힘마저 탑재해주면서 공격에서의 파괴력은 더욱 무시무시해졌다. 전북이 ACL에서 4강에 오르며 선전하고 있는 가운데 리그 우승만큼은 반드시 지키기 위한 연승의 가속페달을 밟고 있었다. 제주는 지난 수원전과 거의 동일한 라
결국 체력이 발목을 잡은 걸까. 전북이 ACL 결승행 티켓을 결국 놓쳤다. 25일 오후 7시 30분 일본 Saitama Stadium 2002에서는 ‘2022 AFC 챔피언스리그(ACL)’ 4강전 전북 현대와 우라와 레즈의 경기가 펼쳐졌다. 사실상 동아시아 결승전이라고 볼 수 있는 이 경기에서 전북은 승부차기까지 가는 혈투를 벌였지만, 우라와에 패하면서 통산 4번째 ACL 결승진출에 실패했다. 전북은 16강과 8강 모두 연장전 120분을 소화하고 4강에 합류했었다. 체력적인 부분이 부담스럽지만, 연장전에서 보여줬던 뒷심은 상대팀이 방심할 수 없는 강점으로 자리잡았다. 우라와는 16강에서 조호르를 5:0, 8강에서 BG 빠툼을 4:0으로 제압하면서 동남아시아 클럽팀에게 참교육을 시전했었다. 2경기 3골을 기록한 모베리의 활약이 돋보이는 가운데 홈 구장에서 ACL 결승진출을 노렸다. 전북은 이범수 골키퍼가 토너먼트 3경기 연속 선발로 나섰고, 김진수와 김문환 국대 센터백 듀오가 변함없이 좌우 사이드를 지켰다. 8강전에서 부상을 당한 윤영선 대신 구자룡이 박진섭의 센터백 파트너로 나섰고, 3선은 맹성웅과 류재문이 책임졌다. 최전방에 구스타보
세징야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스페셜 MD가 출시된다. 대구FC는 25일 오후 1시부터 세징야의 K리그 통산 200경기 출전을 기념하는 유니폼과 MD 5종을 한정 판매한다고 밝혔다. 대구 FC는 공식 키트 파트너인 골스튜디오(GOALSTUDIO), 디자이너 제반드로와 협업하여 세징야의 K리그 통산 200경기 출전을 기념하는 유니폼을 출시했다. 기념 유니폼에는 ‘대팍의 왕’으로 불리는 세징야의 이미지를 문자로 구현해 그의 K리그 역사를 담았다. 유니폼에 더해 기념 머플러와 세징야의 역대 수상 내역이 담긴 페넌트, 세징야의 애칭인 C11을 로고로 넣은 손목아대, 뱃지세트, 볼캡 등의 스페셜 MD 5종도 출시된다. 기념 유니폼은 300장 한정 판매로, 25일 오후 1시부터 대구 FC의 온·오프라인 팀 스토어, 골스튜디오 온·오프라인 스토어, 무신사 온라인 스토어에서 판매를 시작된다. 기념 머플러와 페넌트, 손목아대, 뱃지세트, 볼캡 등의 MD 5종은 대구FC 온·오프라인 팀 스토어에서만 구매 가능하다. 세징야는 지난 8월 13일 울산 현대와의 K리그1 28라운드 원정경기에 선발 출전하면서 K리그 통산 20